-
공공관리정책본부발간도서
「국경을 초월하는 정부혁신(Cross-Border Government Innovation) 보고서」1~3권
「국경을 초월하는 정부혁신(Cross-Border Government Innovation) 보고서」1~3권 국문 번역본 * OECD 공공혁신협의체(Observatory of Public Sector Innvoation)가 2021~22년 3회 연이어 발간한 보고서로 OECD는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혁신을 조명하고, 혁신이 국내에 ...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1 : OECD 지표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는 38개 OECD 회원국 및 가입 후보국과 협력국의 인구집단 건강과 보건의료제도 성과에 대한 주요 지표를 비교한다. 건강 결정요인의 관점에서 보건의료제도의 성과에 대한 주요 지표를 국가별로 비교 및 분석하며, 의료비 지출과 의료 접근성, 인력, 의료의 질, 건강결과와의 관련성 등 각...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연금 2021: OECD 회원국과 G20 국가의 노후소득보장제도
" 한 눈에 보는 연금" 제 9판은 OECD국가의 연금정책과 그 성과를 비교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코로나 위기 및 인구고령화가 연금제도에 주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연금제도의 지정적, 사회적 지속간으선 개선을 위해 자동조정 장치의 팔요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자동조정 장치의 설계 원칙을 설정하고, 자동...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사회 2022 아시아태평양판
본 보고서 "한 눈에 보는 사회 아시아/태평양 2022"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회지표에 대한 개요서로 아태지역 국가들의 사회 동향에 대한 증거를 제시한다.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 2014 아시아/태평양 판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 2014 아시아/태평양 판'은 일부 아시아 · 태평양 국가의 건강 및 보건의료 체계의 주요 사항에 관한 최근의 비교 자료와 경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의 지표는 아 · 태지역의 건강상태, 건강의 결정요인, 보건의료 자원 및 활용, 보건의료비 및 재원조달, 보건의료의 ...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사회 2019
본 보고서 “한 눈에 보는 사회 2019”는 격년으로 발행되는 세계적 사회지표 현황을 개관하는 자료로 OECD가 아홉 번째로 발행한 보고서입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제1장은 성소수자의 수 및 그들의 사회복지・환경적 상황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시하고, 포용성을 향상시키는 모범적 사례를, 제2장에서는 한국독자가 OECD 사회지표의 체계를...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how's life? 2020
본 “How’s Life? 2020”은 웰빙을 결정하는 요소들과 웰빙의 추세, 원인, 대책에 관해 OECD가 2011년과 2013년, 2015년, 2017년에 이어 다섯 번째로 발간한 보고서로, 37개 OECD 국가와 4개의 파트너 국가 사람들의 삶이 더 나아지고 있는지에 대해 기록하였습니다.(한국어판 서문 발췌)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0 아시아태평양 판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 아시아/태평양' 여섯번째 판은 아태지역 27개국의 건강상태, 건강 결정 요인, 보건의료자원과 이용, 의료비와 재원조달, 보건의료의 질에 대한 핵심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아시아태평양 보건의료체계에 코로나19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일련의 대시보드를 제공해 국가별 성과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 책은 광...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 2019: OECD 지표
'한 눈에 보는 보건의료’는 OECD 회원국, 가입 후보국, 협력국의 인구집단 건강과 보건의료제도 성과에 대한 주요 지표를 비교한다. 이번 2019년도 판은 건강상태, 위험요인, 건강추구 행태, 의료 접근성, 의료의 질, ...더보기
-
사회정책본부발간도서
한 눈에 보는 연금 2019 : OECD 회원국과 G20국가의 노후소득보장제도
" 한 눈에 보는 연금" 제 8판은 지난 2년동안 OECD 국가들이 시행한 연금개혁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두개의 특별 장을 통해 OECD 국가의 비표준 노동과 연금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비표준 노동자들의 연금을 정리해 보고, 비표준 노...더보기